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알아봐요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점은 이것입니다!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아직도 헷갈려서 발급 받을 때마다 찾고 계신가요? 이제부터는 이렇게 구분해보시면 차이점 헷갈리지 마세요!

최근에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간편인증서까지 생겨나서 이 인증서가 그 인증서 같고 그래서 헷갈리는 부분이 참 많으셨을거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 준비한 내용이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점인데요. 아래를 확인해서 천천히 살펴보시고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를 구분해서 인증서를 발급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범용공인인증서와 공인인증서는?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알아봐요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알아봐요

인터넷을 사용할 때 신원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신원을 확실하게 증명해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 중에 전자서명이 있습니다.

전자서명이 인증서 형태로 발급되어 국가에서 지정한 인증기관이 발급하는 인증서는 금융거래를 위해 사용되는 공인인증서와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공인인증서가 있습니다.

본인 확인이 필요한 증명서발급서비스와 일반 전자거래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범용인증서와 용도에 제한이 있지만 무료로 발급받아 은행, 보험 및 신용카드 업무, 정부 민원 업무에 사용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가 있습니다.

법인, 단체, 개인사업자 용도와 개인거래 목적으로 사용하는 인증서에 따라 무료 발급이 되는것이 있고 별도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것도 있습니다.

범용인증서 신청방법

범용 공인인증서는 발급기관에서 신청할 수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공인인증기관으로는 금융결제원, 코스콤, 한국증권전산이 있습니다.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자 그렇다면 범용인증서와 공인인증서 차이는 무엇일까요?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차이가 있지만 사용처가 엄연하게 다릅니다.

개인 법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 개인 공인인증서 :  무료이며 은행 계좌 조회, 이체
  • 카드 내역 조회, 보험 조회, 보험금 신청 등 모든 금융업무를 볼 때
  • 정부 민원 업무를 할 때
  • 개인 범용인증서 :  연 4,400원의 비용이 발생
  • 용도 제한 없이 주식거래를 포함 한 모든 인증업무가 가능하며 한 번 발급 받으면 후에는 갱신으로 기한 연장

법인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 차이

  • 법인 공인인증서 : 은행/신용카드/보험용 연 4,400원의 비용이 발생
  • 법인 범용인증서 : 용도 제한 없이 모든 인증 업무를 할 때 사용하는 인증서는 연 110,000원의 비용발생
  • 데이터 암호화가 필요한 전자계약, 전자세금계산서 등 업무를 할 때 사용 가능

개인이 범용인증서를 발급받으면 용도 제한 없이 주식거래를 포함한 모든 인증 업무를 할 수 있으며 법인이 범용인증서를 발급받으면 은행, 신용카드, 보험 등 모든 전산 업무를 포함해 전자입찰, 전자계약 참여도 가능하며 전자세금계산서 등의 업무를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은 용도에 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법인회사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범용은 모든 업무를 볼 수 있다고 보시면 되고 용도 제한이 있는 인증서를 발급 받을 때는 세금게산서만 발행이 가능하거나 은행, 신용카드, 보험 등의 업무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범용인증서 공인인증서는 비용의 차이도 있습니다. 개인 범용인증서는 4,400원이며 법인 범용인증서는 4,400원(세금계산서 용도, 은행/신용카드/보험), 연 110,000원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밖의 간편인증서를 찾고자 한다면 네이버 인증서 발급방법통신사 패스 발급방법, 카카오페이 간편인증서 발급방법도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