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인터넷 및 온라인 발급 방법 검사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발급 어렵지 않아요.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에 대해 찾고 계신가요? 식품업종에 종사하는 분들은 보건증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보건소에서 몇가지 검사 후 이상이 없다는 결과를 종이로 표시한 것이 보건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보건증을 인터넷 및 온라인에서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사방법과 보건증 유효기간까지 정리되어 있으니 놓치지 말고 참고하세요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보건증 (건강진단결과서)

보건증은 건강수첩의 이전말로써 위생과 관련된 업종에서 근무할 때 필수로 근무지에 제출해주어야하는 서류입니다.

현재는 건강진단결과서로 불리고 있습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보건소에 방문해서 보건증을 받아오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결과를 받아보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검강진단결과서는 폐렴, 결핵, 장티푸스 등과 같은 전염성이 있는 질환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며 결과를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보건증 검사 및 발급 소요일

건강진단결과서를 발급받기 이전에 검사는 보건소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신분증을 챙겨서 접수를 하고 안내에 따라 이동해서 피를 뽑고, 엑스레이 검사를 하게 됩니다.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약 5일에서 일주일 정도(주말제외) 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보건증 검사 수수료는 1인당 3천원이며, 영상의학실과 병리검사실에 방문해 검사를 완료하면 됩니다.

보건증 유효기간

건강진단결과서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입니다. 1년이 지나면 다시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방법

검사가 끝나고 며칠이 지나면 문자로 안내문자를 받게 됩니다. 보건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해당 보건소에 방문해 검진결과서를 받아도 무방하고 인터넷으로 발급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다른 사람이 보건증을 발급 받을 때는 대리인 위임장과 신분증이 있어야합니다.

공공포털보건 홈페이지 바로가기

공공포털보건바로가기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해줍니다. 해당 홈페이지를 보시면 증명서 발급이 있습니다.

온라인 제증명 발급 바로가기가 눈에 보이실겁니다.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을 클릭해주세요

개인정보활용동의

개인의료정보보호를 위해서 제증명 조회 및 발급 시에는 공인인증서나 휴대폰을 이용한 본인인증이 필요하게 됩니다.

본인확인을 위해 입력한 개인정보와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 명의자가 동일해야 합니다.

건강진단결과서 외 개인의 건강진단서, 예방접종 증명서 등을 출력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온라인 발급 시스템

본인확인을 거쳐 발급 시스템으로 넘어오면 일반건강진단서 국문, 영문, 건강진단결과서 , 예방접종증명서 국문, 영문, 채용신체 검사서, 진료비 납입 증명서를 선택해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보건증 온라인 발급은 정부 24에서도 가능합니다. 편리한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보건증 재발급

유효기간이 1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위의 온라인 발급방법의 루트대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해당 서류는 PDF 형태로 저장되어 보안을 위해 암호화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본인의 생년월일 6자리를 입력 후 확인하고 출력하거나 보관하면 됩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