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마르지 않나요?
안구건조증 생활의 질을 떨어뜨립니다.
우리의 안구를 덮고 있는 눈물막은 물, 지방, 점액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눈물막이 마르면 안구건조증 질환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결막염, 각막궤양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가진단을 통해 안구건조증을 살펴보세요
눈의 구조
눈물은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으로 구분합니다. 점액층은 수성층이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수성층은 눈물층을 생성하고 눈물층은 눈을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눈에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지방층은 수성층 증발을 막는 역활을 합니다.
나이가 들거나 장시간 전자기기 등에 노출 된 경우 눈 구조물에 염증 및 외상이 생기면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원인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노화, 결막염, 갑상선질환, 여성호르몬 감소, 약물 복용 등이 있습니다.
봄에는 건조한 날씨, 미세먼지 등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겨울에는 잦은 온풍기 및 난방기기에 건조해져 발생되기도 합니다.
눈물의 분비가 줄어들거나 눈물이 많이 분비되어도 안구 건조 등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증상
- 눈의 피로감
- 모래가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
- 작열감
- 눈이 침침한 불편감
- 가려움
- 눈부심
- 과도한 눈물
증상이 나타날 때 눈을 감고 있으면 완화되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날 때 건조한 환경이라면 점점 더 심해집니다.
바람이 많은 부는 날, 공기가 안 좋은 곳 등에서 심해지기도 하며 오후가 갈수록 불편감이 호소됩니다.
겨울철에 눈물이 많은 나는 것은 이물감 자극에 대한 반사작용이기도 하지만 안구건조증이 심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기도 합니다.
안구건조증 자가진단
- 눈에 이물감
- 눈의 뻑뻑함
- 눈이 빨리 피로해짐
- 책이나 스마트폰, 컴퓨터를 장시간 못 봄
- 이유없는 충혈
- 렌즈 착용 불편감
- 눈이 빠지는 느낌
- 냉방기 및 건조기를 사용하는 곳에서 눈물이 난다
- 빛에 민감 및 눈부심 현상
2개 이상은 주의가 필요한 단계이며 4개 이상은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한 단계입니개다.
8개 이상은 치료가 필요한 단계입니다.
눈을 촉촉하게 만드는 방법
- 하루 2~4회 온찜질
- 고농도의 인공눈물 및 안연고
- 눈꺼플 세정제
안구건조증 완화운동법
눈에 피로가 쌓였을 때 안구건조증은 악화됩니다.
피로를 풀어주고 안구의 혈액순환을 돕는 자극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눈을 뜬 채 위에서 아래로 안구를 5회 이상 움직이고 눈을 감은 후 아래에서 위로 다시 5회 이상 움직입니다.
손바닥을 비벼 눈 위를 지그시 눌러주고 눈을 감은 상태로 5~10분 정도 휴식을 취한 후 천천히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안구를 돌려줍니다.
시간이 없다면 미간에 위치한 찬죽혈을 자극해주는 것도 도움이 되며 검지와 중지로 눈 주위 뼈대, 눈 옆 관자놀이, 눈썹 아래 움푹 들어간 곳을 눌러주면 좋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 |